2017년 11월 28일 화요일

왜도(비대칭도)

확률 이론 및 통계학에서, 비대칭도(非對稱度, skewness) 또는 왜도(歪度)는 실수 값 확률 변수 확률 분포 비대칭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. 왜도의 값은 양수나 음수가 될 수 있으며 정의되지 않을 수도 있다. 왜도가 음수일 경우에는 확률밀도함수의 왼쪽 부분에 긴 꼬리를 가지며 중앙값을 포함한 자료가 오른쪽에 더 많이 분포해 있다. 왜도가 양수일 때는 확률밀도함수의 오른쪽 부분에 긴 꼬리를 가지며 자료가 왼쪽에 더 많이 분포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. 평균과 중앙값이 같으면 왜도는 0이 된다.


출처: <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B9%84%EB%8C%80%EC%B9%AD%EB%8F%84>

Matlab document


출처: <https://kr.mathworks.com/help/releases/R2017a/stats/skewness.html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

람다 표현식 (Lambda expression)

람다 표현식(Lambda expression)  람다 표현식으로 함수를 정의하고, 이를 변수에 할당하여 변수를 함수처럼 사용한다. (1) 람다 표현식       lambda <매개변수> : 수식      ※ 람다식을 실행하...